creativity/_Ambient_Media

아기가 기저귀 용변을 볼때마다 트윗으로 알려주는 하기스(Huggies)의 TweetPee.

ArthurDent 2013. 11. 24. 15:47
반응형



브라질에서 하기스(Huggies)와 오길비 브라질(Ogilvy Brasil)이 개발한 (트윗피)TweetPee는


아기가 기저귀에 용변을 보면 기저귀 표면의 색깔이 변하도록 해서, 부모가 쉽게 알아챌 수 있게 했던 기술이-


디지털 시대에는 어떻게 더 발전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.




아기의 기저귀에 TweetPee 기기를 부착하면, 기기가 기저귀가 젖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,


부모의 트위터로 트윗 알람을 보내- 아기가 용변을 봤음을 바로 알려준다.


그리고, 아이의 배변활동에 대한 통계를 보여줘서, 집에 있는 기저귀가 언제쯤 다 떨어질 것인지 알려주어


기저귀를 구입할 타이밍을 결정하는데도 도움을 준다.




기저귀의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, 기저귀 회사가 할 수 있는 방법이- 아이들에게 더 자주 용변을 보게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.


아이가 기저귀에 용변을 봤을때, 바로바로 기저귀를 갈 수 있도록 도와줘서-_ -


아이가 이미 젖은 기저귀에 소변을 한번 더 보지 않게 (그러니까, 기저귀 두장을 쓸 찬스를, 한장만 쓰는 것으로 끝나지 않게) 만드는 것 아닐까.


그런 의미에서 TweetPee는 마케팅적으로도 아주 remarkable한 제품이 아닐까 한다.


다만, 이 정도 기술을 가지고 웨어러블 디바이스(wearable device)의 혁신이라 평가하기엔 좀 무리가 있는듯.





아직 완전히 상용화 되진 않은 제품이라, 공식 영상은 포르투갈어로만 소개 되고 있다.


그래서, 위에는 영어 뉴스를 달아두었는데, 아래에 공식 영상도 달아둔다.







반응형